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화이트데이

문화를 느끼다

by INTERIORshop garage116-1 2013. 2. 25. 14:59

본문

<화이트데이>

발렌타인 데이가 여자가 남자에게 초코렛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날이라면 3월14 일인 화이트 데이는 남자가 여자에게 사탕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날이다
남자가 여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게 특별한 건 아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사랑을 고백한 여자의 마음를 남자가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물론 연인인 사이에는 발렌타인때 받은 선물에 답례하는 날이다.

<유래1>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의 유례는 3세기경(269년)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결혼은 황제의 허락하에 할 수 있었는데 발렌타인은 서로 사랑하는 젊은이들을 황제의 허락없이 결혼을 시켜준 죄로 순교한 사제의 이름이다. 그가 순교한뒤 이날을 축일로 정하고 해마다 이 날 애인끼리 사랑의 선물이나 연애편지를 주고 받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 지금은 연인들의 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날은 여자가 평소 좋아했던 남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것이 허락되는 날이다. 사랑을 전하는 매개체로 초콜렛이 이용되는데 그것은 초콜렛의 달콤함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콜렛 이외에도 자기만의 개성적인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유래2>
1477년 2월 14일 영국의 마거리 - 부르스라는 시골 처녀가 짝사랑하는 존 패스턴이란 젊은이에게 구애의 편지를 보낸것이 주효, 결혼에 골인한 이래 이날이 젊은이의 축제로 자리잡게 됐다. 즉 현대식 발렌타이데이의 시초는 영국 에서 시작된 것. 런던의 국립우편박물관에는 부르스양의 구애편지와 함께 많은 짝사랑 처녀들의 편지가 전시되어 있다. 히말라야 고산족들은 같은 수의 총각, 처녀들이 편을 갈라 동서쪽 나무에 숨는다. 어느 한 총각이 노래를 부르면 그노래에 답한 처녀가 짝지어 지게끔 되어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노래대신 공을 호감있는 처녀에게 던진다. 받고 안 받고는 자유지만 만약 그 공을 받아 들면 짝이 이루어진다.

<우리나라>
우리나라에서는 단연 여성이 남성에게 쵸코렛을 선물하는 것이 유행이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발렌타이데이와 비슷한 사랑고백의식이 있었다. "탑돌이"라는 의식은 보름달 밤에 처녀들이 밤새워 탑을 도는데 세 번만 눈이 맞으면 결실을 맺는 날이었다. 삼국유사에 보면 금현이란 사나이가 이 탑돌이에서 사랑을 맺은 것으로 나와 있다. 세조때는 지금 파고다 공원인 원각사의 탑돌이가 너무 문란하다 하여 조정에서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외 견우 직녀가 만나는 칠월칠석날, 총각이 처녀가 있는 집의 담을 넘어가는 풍속이 있어 머슴이 몽둥이를 들고 월담을 지켰다는 기록도 있다. 이렇듯 이날은 법적공휴일 아니고 특별한 형식이 있는것도 아니지만 세계의 수많은 남녀들은 하트형의 카드나 쵸코렛, 케익등의 선물로 사랑을 고백한다. 각 나라의 전통에 따라 독특한 문화로 정착되고 있다

1월 14일은 다이어리 데이
올 한해 계획을 세워서 기록하는 날이고,연인에게는 예쁜 다이어리나 수첩을 선물하는 날이다.
꽃바구니에 환한 미소와 소망을 담아 함께 선물해보자.

2월 14일은 발렌타이 데이
사랑하는 여성이 1년중에 가장 행복한 날!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쵸코렛으로 사로 잡는다. 이날의 가장 큰 매력은 역시 사랑하는 남자에게 여자가 먼저 사랑을 고백해도 흉이 되지 않는다는 거다
장미꽃과 하트 초코렛이 발렌타인데이의 상징이자 대표적인 선물이다.

3월 14일은 화이트 데이
발렌타인 데이가 여자가 남자에게 초코렛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날이라면 3월14
일인 화이트 데이는 남자가 여자에게 사탕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날이다.

사랑의 고백이란 꽃말을 간직한 빨간 장미, 분홍 카네이션, 빨간 튜율립으로 가득한 꽃바구니를 사탕과 함께 그녀에게 아무말 없이 내밀어도 사랑의 마음이 전해질 것 같다.

4월 14일은 블랙데이
발렌타이데이와 화이트데이를 썰렁하게 보낸
연인이 없는 사람들끼리 검은 복장을 하고 만나 짜장면을 먹는 날이다.
연인끼리는오늘만큼은 짜장면을 피해가자.

5월 14일은 로즈데이
애인이 생긴 사람은 사랑의 장미꽃을 전하고 받는 날이고 애인사이라면 장미축제에 가는 날이 된다.
상대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결정을 내리는 날이기도 하다.노란 장미는 이별, 백장미는 우정, 빨간장미는 사랑을 뜻한다. 어떤 꽃으로 준비할까?

6월 14일은 키스데이
연인들이 입맞춤을 하는 날
로즈데이에 빨간장미을 주고 받은 연인들이 가슴 두근거리면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며 정열적인 키스를 하는날! 빨간 장미와 함께 멋진 분위기를 만들어보자.

7월 14일은 실버데이
은반지를 주고 받으며 장래를 약속하는 날이다

두 사람의 사랑에 변함이 없도록 똑같이 생긴 반짝이는 은반지를 끼는 날! 순결한 백합과 함께 은반지를 준비하자.

8월 14일 뮤직데이
나이트 클럽에 가서 신나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날이다.
즐겁게 춤추는 것도 좋지만 연인이 좋아하는 곡을 녹음해서 테이프와 꽃다발을 함께 선물하는 것도 멋진 선물이 될 것이다.

9월 14일은 포토데이
청명한 가을하늘아래서 연인과 함께사진을 찍는 날이다. 주로 이날은 자신의 연인을 친구들이나 주변사람들에게 공식화하는 의미를 가진다.
연인이 함께 가을색의 꽃바구니를 안고 추억에 남을 근사한 사진을 찍자.

10월 14일 와인데이
이날은 붉은 와인을 마시는 날이라 레드데이라고도 한다
와인잔을 기울이며 꽃과 와인의 향기로움 안에서 사랑의 밀어를 속삭이는 달콤한 날이다.

11월 14일은 무비데이
꽃바구니를 사이에 두고 사랑하는 연인과 손을 꼬~옥 잡고 조금은 야한 영화를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극장에 가게 된디면 야한영화나 공포영화가 좋지않을까.

12월 14일은 머니데이
남자가 여자에게 돈을 팍팍 쓰는 날이고 연인끼리 서로 포옹하는 날.
손수 정성스레 꽃바구니를 꾸며 연인의 품에 안겨준다면 추운 겨울을 누구보다도 따스하게 보낼 수 있을 것이며 무엇보다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는 진실된 마음만으로도 이 날은 아름다운 추억으로 기억될 것이다.

출처:http://flower24.nabro.co.kr/html/valentine/whiteday.htm

3월 14일..화이트 데이다.
화이트 데이는 무슨 날인가?
왜 사탕을 전하는 풍습이 생겼는가?


<화이트데이의 유래>

화이트 데이는 3월 14일로, 발렌타인 데이 덕분이
초콜릿이 많이 팔려 이득이 생기자 덜 팔린
사탕이 소비되도록 촉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3월 14일이 기념일 아닌 기념일로 된 것은 일본의 유명 제과회사인
모리나가 제과의 농간으로 성 발렌타인 축일에 초콜렛을 선물하는 관행을 정착시킨 것
또한 모리나가 제과의 농간입니다.

동 회사는 한국에 오리온 밀크캐러멜에 기술을 제공한 회사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발렌타인 데이에 여자가 남자에게 초콜렛을 선물하는
관행이 처음 생긴 것이 1958년입니다.
이때만 해도 일본에서는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 고백을 쉽게 못하는 분위기였으나 모리나가 제과에서
'이날 하루라도 여자가 남자에게 자유로이 사랑을 고백하게 하자'는 캠페인을 내놓은 것입니다.
거기에다 교묘하게 '초콜렛을 선물하면서 고백하라'는 말을 끼워 넣어서 초콜렛 장사를 한 것입니다.
이런 캠페인이 있다 해도 당장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 고백을 하기 어려운 분위기는 쉽게 바뀌지 않아서,
처음에는 인기를 못 끌다가 1970년대 들어와서야 발렌타인 데이에 초콜렛을
선물하는 관행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무렵에, 초콜렛 장사로 큰 소득을 올린 모리나가 제과에서 비인기 품목에 속하던
마시맬로우(marshmallow : 초코파이 속에 들어 있는 크림을 단단하게 굳힌 거라고 보면 됩니다)를
팔려는 계획으로 "2월 14일에 초콜렛으로 받은 사랑을 3월 14일에 마시맬로우로 보답하라"는
내용의 광고를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최초의 이름은 '마시맬로우 데이'였는데 '화이트 데이'로 이름이
바뀌어서 지금에 이른 것이며 '화이트'라는 말은 마시맬로우가 흰색이라서 붙은 말입니다.

<사탕의 역사>





설탕의 원료인 사탕수수가 처음 발견된 곳은 기원전 200년경, 인도지역에서이다.
그 뒤 5~6세기 경 설탕은 인도에서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등지로 전파되었고, 중동(아라비아)을
거쳐 유럽으로 보급되었다. 아라비아(사라센제국의 중심지)는 인도로부터 운반해온 조당(사탕수수에서
1차로 뽑아낸 정제되지 않은 당)을 정제하여 설탕을 만들었다.

과일껍질과 심지를 따로 조리고, 주머니에 넣어 매달아 놓으면 그 즙이 식으면서 굳는다,
이것이 바로 젤리(불어로는 즐레) 의 시초가 되었다. 여기서 과일과 꿀을 함께 조려 생긴 즙이
굳는 원인은 과일 속에 있는 펙틴(Pectin)이라는 고분자 다당류 때문이다. 이렇게 RNf과 과실(일반적으로
펙틴 제리는 펙틴+산+당분의 적절한 조화로 만들어짐)을
이용한 단맛의 식품이 지금의 디저트 과자와 맥을 같이 하며
이것을 토대로 다양한 종류의 젤리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꿀을 사용시 저장 등에 불편이 따랐고 따라서 사용이 편리한 설탕이 등장하면서 꿀이 가졌던 역할을 설탕이
대신하게 되었다. (꿀조림을 한 과일은 오목한 접시에 담아야 하나 설탕조림은 어디에 담든지 상관없었다.)
그 후 설탕량을 조금씩 늘려 조림한 과일이 표면에 하얀 결정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같이 표면에 설탕 결정이
생긴 과일이 바로 설탕 절임 과일이며 이것은 곧 슈가 캔디의 기본이 되었다.

최초로 만들어진 것이 레몬껍질을 이용한 레몬필(정식명칭 : 캔디드 레몬필)이였다. 오렌지필도 같은 종류의 과일로
이들은 과자에 장식하거나 후르츠 케익의 배합재료로 쓰인다. 레몬필은
“ 이탈리아 껍질 ” 이라고도 불리어졌다.
북유럽은 겨울이 길어 겨울동안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기 위하여 과일을 저장해야만 했다.
그래서 특히 레몬(비타민 C가 다량함유) 이 인기를 끌었는데 과육은 즙을 내어 마셨고
껍질은 설탕 절임해 오래두고 먹었는데 이것이 바로 이탈리아에서 생겨 유럽각지로 퍼져나갔던 것이다.
여기서 “이탈리아 껍질 ” 이라는 애칭이 생겨났고, 나중에는 레몬필로 지칭하게 되었다.

레몬필처럼 후르츠 캔디가 과일의 저장에 역점을 둔 것이라면, 그 뒤를 잇는
캔디는 설탕을 위주로 하여 단맛을 즐길 수 있는 과자 기능에 중점을 둔 것이다.

후르츠 캔디의 뒤를 이어 등장한 것이 슈가 캔디이다.
이것은 설탕에 물을 소량 첨가해 잠깐 조린 뒤에 불에서 내려 교반하면서 하얗게 굳히거나
굳기 전에 일정한 모양을 한 틀에 흘려 부어 성형한 것을 말한다. 불투명하고 달기만한
슈가 캔디를 발판삼아 나온 것이 바로 드롭?O봉甄? 신맛과 빛깔 등을 채색한 드롭?O병?
곧이어 인도에서 보석과 향신료가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이 드롭?O봇?결합해
오늘날과 같은 갖가지 투명한 빛깔의 드롭?O별?탄생하게 되었다. 드롭?O봉?뒤를 이어
견과에 설탕 옷을 입힌 드라제(dragee)가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드라제 뒤를 이어 속은 시럽상태이고 겉은 설탕의 결정화를 유도하여 딱딱하게
만든 봉봉(bon bon : 13세기경 동방으로 원정갔던 십자군에 의해 처음 만들어짐) 과
볶은 아몬드와 꿀, 시럽으로 만들어진 누가(nougat)가 개발되었다.

봉봉은 프랑스말로 ‘아주 좋은’, ‘맛있는’의 뜻이며 누가는 라틴어로 누스(nux:호두)로 원래는
호두로 제조되었지만 훼손되기 쉬워 아몬드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그 밖의 견과로는 헤즐넛, 피스타치오가 쓰이기도 했다.

드롭 드라제, 봉봉, 누가에 이르기까지는 오로지 설탕만으로 만들거나 설탕에 견과를 넣어 만들었었다.
그러나 차츰 유제품이 발달하면서 캔디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탄생 한 것이 타피(Toffee)와
캬라멜이다. 타피는 설탕, 물엿, 버터로 만들어졌으며 그 뒤를 이어 설탕, 연유로 만든 캬라멜이 뒤따라 등장했다.

이후 전분당이 개발되면서 캔디에도 적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오늘날과 같은
하드캔디, 젤리, 캬라멜이 탄생하게 되었다.

출처:http://cafe.daum.net/sokcho13th

관련글 더보기